"한국인이라는 굴욕감" 이라는 글을 보고

2006. 10. 20. 16:21

원문 : http://www.scieng.net/zero/view.php?id=now&no=11373

근래에 본 글중에 꽤 상위에 속하는 롱테일을 담고 있는 글이다.
결론은 "한국에 들어온 해외 R&D 센타에 들어오지 마라" , "기술 이전도 없고 원천 기술 개발도 절대 없다", "과학자의 자존심과 소신, 학문에 대한 열정을 영원히 잃어버릴 수 있다" 라는 충격적인 내용이다.
실제로 글쓴이도 국내에 진출한 해외 R&D 연구소에 몸담고 있는 사람이 쓴 글이라 그런지 겉모습만 보고 쓴 글은 아닌 것 같다.

최근에 구글이 한국에 진출한 것을 두고 여러 블로그상에 올라온 글들을 읽다보면 걱정반/우려반/기대쬐끔 정도로 느껴진다. 과연 어떤 내용들이 정부 관계자들과 오고 갔을까? 순진한 엔지니어들 열정을 가진 엔지니어들을 "두번" 죽이는 일이 자행될 것인가 여부는 좀더 지켜봐야 알겠지만, 역시나 한국에서 토종 IT 기업에서 몸담고 있는 개발자로서는 평소에 생각하고 있던 구글에 대한 인식때문인지 몰라도 왠지 긍정적으로 해석하고 싶은 생각이 드는건 왜일까?

실제로 구글에 몸담고 있는 개발자들이 자기 회사 자랑을 하는 글들을 보면 조금 짜증나는 경우도 있지만, 사실 회사 자랑 하는 경우가 흔히 생각할 수 없는 것이라고 여겨왔기 때문에 의아하게 느껴지기도 한다. 정말 구글이기 때문에 가능한 일인가?

어쨌든 국내에 진출한 해외 R&D 센타에 몸담고 열심히 일하는 엔지니어들이 문제겠는가? 그들의 생각이 문제 겠는가? 문제를 스스로 해결할 수 있다고 믿고 열심히 달려드는 사람들은 뭐라 할 수 없겠지만, 항상 문제는 우매하게 앉아서 권력을 휘두르는 가진자들이 아닌가 생각해본다.

어쨌든 즐거운 내용만은 아닌 글이다.

,

Free Hugs in KOREA

2006. 10. 19. 17:49
아.. 한국에서도 이런 것이 가능하구나.
동영상 마지막에 나온 문구가 인상적이다. 사랑, 미소, 행복... 조금의 용기가 필요할 뿐이다....
가까운 곳에서 사랑을 받고 있으면서도 나누지 못하고 사는 각박한 내 맘에 단비같은 기쁨을 주는 동영상이다.



당장 가까운 곳에서 용기를 발휘해야 겠다 :D

아래는 오리지널 동영상입니다.
,

Think Different

2006. 10. 15. 17:56
크게 기대를 하지 않고 시작한 책이지만 수월하게 읽어지면서도 기억에 남는 부분이 생기는 추천할만한 내용이었다.

모든 상황에 적용할만한 내용으로 "인간의 이성은 열정 앞에서 힘을 잃는다 - 아리스토텔레스" 라는 표현처럼 열정을 갖고 그것을 가진 사람들과 어울리고 배우려는 자세를 지닌다면 일단 시작은 될 수 있을 것 같다. 그것이 창의력을 개발하기 위해서건 무언가를 배우기 위해서건 간에, 이런 열정을 갖고 시작하면서 작은 성공에도 스스로를 칭찬할 수 있다면 위대한 성공에 접근할 수 있지 않을까?

이러한 열정을 가지고 지속적으로 연습,연습,연습 하는 동안 스스로 호기심에 항상 자극을 받을 만한 새로운 분야를 찾아서 도전하는 자세를 갖는 것이 중요하다고 이 책에서는 말하고 있다.

새로운 아이디어를 짜내기 위해 끙끙 댄다고 창의력이 향상되는 것이 아니다. 창의력을 개발하려면 단지 기존의 지식을 제거해버리면 된다.
좋은 것은 위대한 것의 원수다. - 볼테르
도입부에 과감히 등장한 문구들이다. 대체적으로 위대한 아이디어를 생각해내지 못하는 문제를 이런 좋은 것을 찾으려는데 있다거나, 기존 지식에 얽메여 있다는데서 문제를 찾고 있었다.

그럼 창의력이란 무었인가? 사실 이런 질문에 언뜻 대답하기가 어려울 것이라고 생각했는데, 저자는 생각보다 쉽게 정의해버렸다.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이 바로 창의력이다.
다시말해서 문제가 있어야만 창의력을 발휘할 수 있다고 얘기하는 것인데, 사실 아무런 문제도 없는 상황에서 창의력을 불쑥 꺼내 든다면 당황스럽긴 하겠다.

어쨌든 이러한 창의력을 기를 수 있는 방법과 창의력을 가로막는 장애물을 식별하고 제거할 수 있다면 잠재해있는 무한한 창의력을 개발할 수 있을 것이다.

책에서 소개한 창의력 개발 방법과 이것을 가로막는 5가지 장애물에 대해서 정리해보면 다음과 같다.

창의력 개발 방법
  1. 100마일 사고법 (생각나는 대로 빠르게 아이디어를 떠올리는 것): 양과 속도를 결합한 사고방법.
  2. 180도 사고법 (전통적인 방식과 정 반대로 사고하는 방법) : 선입견과 고정관념에서 벗어나게해준다.
  3. 초은하계 사고법 (자기 일과 무관한 분야의 정보를 자신의 문제와 연결하려고 노력하는 방법) : 합리적인 사고, 즉 계속해서 똑같은 자료에만 의존하려는 틀에 박힌 사고를 없애고 좀더 많은 가능성을 열어줌

창의력을 가로막는 5가지 장애물

  1. 미지의 대상에 대한 두려움 (끊임없이 변화하는 세상에서 새로운 아이디어를 받아들이지 않고 현재에 안주한다면 실패할 수 밖에 없다)
  2. 바보처럼 보일지도 모른다는 두려움
  3. 성급한 판단
  4. 옛것에 대한 집착
  5. 성공에 대한 미련 (대단한 성과를 올린 사람 가운데에는 옛날의 영광에 사로잡혀 모든 상황에 적용되는 창의적인 해결책을 발견했다고 생각하는 사람이 많다)

모든건 항상 실천이 문제다... 내일 당장 아니 오늘 당장 실행하는 것이 중요 하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