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름 독서 방법 정리

2006. 10. 10. 19:24
집중력을 높이기 위해서 (다독이 목적)...
한권의 책을 읽는데 데드라인은 3일 정도로 한다

이것 또한 집중력을 높이기 위해서...
읽고 나서는 나름대로 독후감 내지는 서평을 기록한다

시간내기가 어려우니 일부러 이렇게 제약을 걸어 보는 것은 어떨지...
짜투리 시간에만 읽는다

워낙 관심사가 다양하고 싫증을 잘내는 타입이라. 오랬동안 집중력을 갖고 보기 위해서...
한번에 여러권을 읽는다

읽기, 읽기, 읽기 ... 절대적으로 양이 중요한 것은 아니지만, 그렇다고 안 중요 한 것도 아니다. 도무지 1년에 100 - 150 권씩 읽어대는 사람들은 뭐란 말인가?
좋은 책을 선별해 내는 안목을 기르기에는 아직도 내공이 많이 부족하니 주변 좋은 소스들로 부터 추천 받은 책들은 짬짬히 계속 읽어보자.
,

티스토리로 이주중

2006. 10. 9. 13:36
그동안 blogger.com -> wordpress.com 등으로 이사다니다가. 이제 급기야 티스토리에 도달하는 지경에 이르렀다. 글쎄 악필이 붓 탓하는 것은 아니라 하지만, 새로운 도구가 나에게 활력을 불어넣어 주는 건 사실이다.

기존에 사용하던 블로그 서비스에서 문제가 되었던 것은 무었일까? 이전에 사용했었던 두군데 모두 "내 맘대로" 부분이 조금은 미흡했던 것 같다. 2% 부족함을 느꼈던 때문인지는 몰라도, 뭔가 땡기는 것이 생기면 바로 옮겨가야지 하고 노려보던 찰나에 평소에는 눈여겨 보지 않던 국내 서비스중에 티스토리가 눈에 들어오게 되었다.

부족한 부분을 티스토리가 충분히 채워줄 것인가? 라는 질문에는 지금은 언뜻 답할 수는 없지만 벌써부터 이래저래 데이타를 이전할 방법을 찾아보는 걸로 봐서는 조만간 메인 블로그로 사용하게 될 것 같은 생각이 든다. 그리도 티스토리에 애책을 갖고 시작할 수 밖에 없는 요인중 또하나는, 너무나도 얻기 힘든 계정 ㅡㅡ;;; 이런 것도 무시못할 요인이다. (정말 힘들게 얻은 것 같다... 하여간 계정을 만들게 해준 dongki님에게 감사하는 맘을 가지면서)

이제 또다시 시작이다.
,

자바스크립트로된 라이브러리 혹은 프레임웍 들을 살펴보다보면 눈엣 가시처럼 거슬리는 코드들이 보인다. 평소에 보지못한방식이라서 그럴 수도 있고, 워낙 고수들이 만들어놓은 자바스크립트 고유의 장점들을 살려서 작성해놓았기 때문일 수도 있다.

어쨌든 그중에 자바스크립트를 생성할때 네임스페이스를 구현하는 방법 등을 둘째 치더라도 (보면 그냥 이해가 되는 부분이기도 하니까) 왜 이런 라이브러리들은 프로토타입 객체를 통해서 함수들을 선언해 놓을까?

가장 큰 이유는 개인적인 생각에서는 메모리의 문제가 아닐까 한다. 물론 다른 이유도 많겠지만...

메모리의 측면에서 보기위한 예를 들면:

[CODE]

function mySample() {

var field1 = "test";

var today = new Date();

this.todayis=function(){

alert("Today is " + this.today);

}

}

[/CODE]

위와 같은 함수가 있다고 생각해보자. 이때 todayis 라는 함수는 오늘 날짜를 alert 창으로 찍어서 보여줄 것이다.이런식으로 mySample 함수 생성 메소드 내부에 함수를 추가하는 방식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mySample 객체의 인스턴스가생성될때 마다 매번 함수를 새로 만드는 형태가 된다. - 객체를 대량으로 만드는 경우에는 메모리 사용면에 있어서 취약할 수 있다.

이런 고려사항때문에 대부분 Prototype 객체를 사용해서 함수를 연결하는 형태를 취하고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하지만 Prototype 을 사용하는 경우에 주의해야 하는 사항은 가비지 문제이다.

함수내부에 함수를 추가한 형태의 경우에는 내부적으로 클로저가 만들어진 경우인데 (클로저는 함수 내부에 또 다른 함수를 구현하는 경우에만 동작한다), 이때 생성 메소드에서 DOM 엘리먼트를 다루는 경우에는 함수의 지역 변수로 선언된 내용이 가비지 컬렉터에게 수집되지 않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쩝... 여러가지고 JavaScript 코드를 사용해서 뷰단에서 멋진 효과및 이벤트 처리를 위해서는 많은 고려해야할 사항이 있는 것 같다.

,